문학이야기

이화에 월백하고 / 이조년(李兆年)

슈트름게슈쯔 2011. 4. 17. 17:51

 

 

 

 

 

 

 

 

 

이화에 월백하고 / 이조년(李兆年)

 

梨花月白三更天 (이화월백삼경천)
啼血聲聲怨杜鵑 (제혈성성원두견)

진覺多情原是病 (진각다정원시병)
不關人事不成眠 (불관인사불성면)
 

 

 

이조년(李兆年 : 1268 ~1342)

이화에 월백하고 은한이 삼경인제
일지 춘심을 자규야 알랴마는
다정도 병인양하여 잠 못 들어 하노라

****************

 

하얀 배꽃 밝은 달빛 은하수는 한밤인데
아직 남은 푸른 내 맘 소쩍새가 어찌 알까
정 많음이 병이라서 잠 못 들고 뒤척이네

 

 

 

"다정가(多情歌)"라고도 부르는 이노래는 만인이 좋아하는 시조다.


이조년(李兆年)은 고려후기의 문신이며(1269~1343, 호는 梅雲堂)

성주(星州)李氏의 12代孫 이장경(李長庚)의 다섯째 아드님이다.

형제들의 이름이 특이(?) 해서 여기에 소개한다.

맏형 이백년(李百年), 둘째 이천년(李千年), 셋째 이만년(李萬年),

넷째 이억년(李億年), 다섯째 이조년(李兆年) 이다.

百年, 千年, 萬年, 億年, 兆年, 이다.


두 형제가 길에서 황금 두 덩이를 우연히 발견, 하나는 형이 갖고

다른 하나는 동생이 나누어 가지게 되었다. 배를 타고 강을 건너던

중 느닷없이 동생이 물 속으로 황금을 던져버렸다.


형이 깜짝 놀라 왜 그랬냐고 묻자 황금을 본 순간, 형의 황금도 탐하

려는 마음이 생겨 강에 던져버렸다는 것이다.


이 말에 형도 감동하여 형 역시 황금을 물에 던져버렸다고 한다.

이 이야기의 주인공이 바로 이조년과 그의 형 이억년이다.

형제간의 아름다운 우애를 다룬 얘기를 고교한문 교과서에 실은

"형제투금(兄第投金)"이다.


이 형제가 황금을 던진 곳은 아직까지 남아있는데, 바로 강서구

두암공원의 한 연못이라 한다.


한편, 5형제가 다 문과에 급제한 일은 역사에 드문 일이라,

그들 일가의 이름은 당대에 떨쳤다.

더욱이 백, 천, 만, 조라는 5형제의 특이한 이름으로도

화제가 되기에 충분했다.


고려말에 이름을 떨쳤던 인복(仁復)ㆍ인민(仁敏)ㆍ인임(仁任)의 3형제는

이조년의 손자요, 조선개국공신에 영의정을 지낸 이목(李穆)은

인민(仁敏)의 아들이다. -[독서신문](1972)


 

본관 성주(星州). 자 원로(元老). 호 매운당(梅雲堂) ·백화헌(百花軒).

시호 문열(文烈). 1294년(충렬왕 20) 진사로 문과에 급제,

안남서기(安南書記)가 되고 예빈내급사(禮賓內給事)를 거쳐 지합주사(知陜州事)

·비서랑(??書郞)을 역임하였다. 1306년 비서승(??書丞) 때 왕유소(王惟紹) 등이

충렬왕 부자를 이간시키고 서흥후(瑞興侯) 전(琠)을 충렬왕의 후계로 삼으려 하자

어느 파에도 가담하지 않고 최진(崔晉)과 충렬왕을 보필하였으나 이에 연루되어 귀양갔다.

그 후 풀려나와 1313년간 고향에서 은거했고, 심양왕(瀋陽王) 고(暠)의 왕위찬탈 음모를

원나라에 상소하였다.


1230년 충숙왕 귀국 후 감찰장령(監察掌令)이 되고 전리총랑(典理摠郞)을 거쳐

군부판서(軍簿判書)에 승진, 수차 원나라에 다녀왔다.

1240년 충혜왕이 복위하자 정당문학(政堂文學)에 오르고 예문관대제학(藝文館大提學)이

되어 성산군(星山君)에 봉해졌다. 왕의 음탕함을 간했으나 받아들이지 않으므로

이듬해 사직, 후에 성근익찬경절공신(誠勤翊贊勁節功臣)이 되었다.

시문에 뛰어났으며, 시조 l수가 전한다. 공민왕 때 성산후(星山侯)에 추증,

충혜왕의 묘정(廟庭)에 배향되었다.

 

 

 

 

 

 

 

소리: 박종순

장구: 유흥복

대금: 우종실


 

'문학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군가를 그리워하는 것은 - 남낙현  (0) 2011.07.03
푸쉬킨  (0) 2011.05.08
하늘을 깨물었더니 - 정현종  (0) 2011.02.06
역전 뒷골목 - 박영근   (0) 2011.01.07
한신의 17개 조의 군령  (0) 2010.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