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6.25 전쟁 Korean War 476

미 해병 항공단 F4U 콜세어 전폭기의 공산군대 거점 공격 - USMC F4U Corsair attacking Communist military Base target during the Korean War

한국 6.25 전쟁 당시 미 해병 항공단 VMF-323대대와 VMF-312 대대 F4U 콜세어 전폭기의 적재 무장- 1952면 1월 미 해병 항공단 F4U 콜세어 전폭기의 북한 공산군 부대의 거점 공격 - 1950년 8월 10일 6.25 전쟁 당시 한국 서부 전선의 중국 공산군 부대 거점에 공격을 가하는 미 해병 항공단의 F4U 콜세어 ..

북한 여성 전투기 조종사 첫공개 - North Korea's First Female Fighter Pilots

북한 공군 미그 21 여성 전투기 조종사들을 만나는 김정은 - 2015년 외신에 처음 공개된 두명의 북한 공군 여성 파일럿 림설과 조금향 금수강산 2016년 12월호 표지모델로 실린 북한군 두 여성 조종사 - 2017년 6월 5일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2017년 6월 5일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6월 4일 개..

6.25 전쟁 당시 낙동강 전선의 호주군 부대 -Korean War Nack-dong river front UN Australian Army

6.25 전쟁 당시 미 해군의 에이켄 빅토리 수송선을 타고 부산항에 입항한 호주군 제 3연대- 1950년 9월 28일 6.25 전쟁 발발시 북한 공산 군대에 맞서 한국을 돕기 위해 UN군의 일원으로 부산항에 입항한 호주군을 환영하는 부산 시민들 - 1950년 9월 28일 호주군 3대대 찰스 그린 대대장에게 환영 ..

6.25 전쟁 당시 한국의 부두 하역 노무자들- Korean dockers & workers during the Korean War

6.25 전쟁 당시 부산항에 하역되는 미국의 구호물자 식량과 한국의 부두 하역 노무자들 - 1952년 6.25 전쟁 당시 군수품 포탄을 어께에 메고 이동시키는 한국의 부두 하역 노무자들 - 1950년 6.25 전쟁 당시 미군 군수물자 박스 수송 한국인 하역 노무자와 미군 병사 6.25 전쟁 당시 비행장 활주로..

6.25 전쟁 당시 함경도의 미군과 한우 - U.S Army and Korean native cattle in Hamgyong do during the Korean War

한국 6.25 전쟁 당시 함경남도 이원 해안에 상륙한 미 육군 7사단 병력과 카투사 - 1950년 10월 29일 6.25 침략 전쟁을 일으킨 북한 공산군대에 서울을 빼앗긴지 3개월이 되던 1950년 9월 28일 UN군에 의해 서울이 비로소 수복되었다. 10월 1일에는 한국군 3사단 23연대가 동부전선에서 제일먼저 38선..

6.25 전쟁 당시 서울의 UN 한국전 참전국 국기 판매 노점 - Korean War UN Nations flags street vendor in the Seoul

해방 직후 서울 중앙청 앞에 게양된 태극기와 청천백일기와 성조기 - 1945년 10월 6.25 전쟁 당시 서울의 UN 한국전 참전국 국기 판매 노점 - 1953년 9월 6.25 전쟁 당시 서울의 UN 한국전 참전국 국기 판매 노점 - 1952년 한국전쟁에 참전한 후 휴전 협정에 따라 고국으로 귀항하는 호주군과 부산항..

6.25 전쟁 당시 한국의 라디오 상점들 - Korean Radio Shops during the Korean War

6.25 전쟁 당시 부산 광복동의 대한전기 공업사 라디오 상점 - 1952년 6.25 전쟁 당시 부산 광복동의 기쁜 소리사 라디오 상점 - 1952년 6.25 전쟁 당시 서을의 라디오 상점앞에 기대어 우는 어린이 - 1953년 1월 6.25 전쟁 당시 서을 중앙우체국 주변의 라디오 뮤직 상점으로 이동하는 호주군 병사..